2025년 건강보험료율 및 납부 금액 확인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정부 보건복지부에서는 2025년 보험요률을 2024와 동일한 비율인 7.09%를 2년 연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험료율은 동결되었지만 가족변동, 취업, 사업개시, 재산 취득 등에 따라 개인별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필히 고지내역을 조회하여 납부 금액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건강보험료율
연도 | 보험료율 | 인상률 |
2025년 | 7.09% | 동결 |
2024년 | 7.09% | 동결 |
2023년 | 7.09% | 1.49% |
2022년 | 6.99% | 1.89% |
2021년 | 6.86% | 2.89% |
2020년 | 6.67% | 3.2% |
2019년 | 6.49% | 3.49% |
2018년 | 6.24% | 2.04% |
- 보수월액보험료(월) = 보수월액 × 보험료율
가입자 및 사용자 각 50%씩 부담 - 소득월액보험료(월) = 소득월액 × 보험료율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 확인
1. 지역보험료 조회
직장가입자와 그 피부양자를 제외한 건강보험 가입자는 지역가입자로 분류됩니다. 지역보험료는 가족 변동(전입 전출 등), 사업 개시 및 폐업, 재산 취득과 매각 등의 사유에 따라 수시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실제 해당 월에 납부할 금액을 확인하려면 하단 ‘고지내역조회’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로그인
-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 [보험료 조회/신청] – [지역보험료 조회]
2. 직장보험료 조회
직장가입자의 보험료 부가 금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근로자와 사용자(직장)에서 각각 50%씩 나눠서 부담합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로그인
-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 [보험료 조회/신청] – [직장보험료 조회]
3. 고지내역조회
실제 납부해야할 건강보험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직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 자격이 상실된 경우 조회가 되지 않으며 신규 전입신고시 세대주의 보험료가 조회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이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평소에 국민들이 보험료를 내고 국민건강보험이 이를 관리 및 운영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상호간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건강보험 가입은 의무인가요?
네, 일정한 법적 요건이 충족되면 건강보험 가입은 의무적으로 가입되며 보험료 납부의무가 부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