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하여 근로자가 해당 업무가 아닌 다른 외적인 이유에서 부상, 질병 등이 발생하여 근로활동이 어려워 졌을 때 일정 소득을 지원하여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상병수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범사업 기간으로 지역별 조건, 지원내용, 신청방법 등이 다르니 잘 확인하여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상병수당 제도 조건 지원내용
1단계 상병수당 제도
대상지역 | 지원기간 | 최대 기간 |
부천시, 포항시 | 근로활동 불가기간 | 90일 |
종로구, 천안시 | 근로활동 불가기간 | 120일 |
순천시, 창원시 | 입원 외래 진료기간 | 90일 |
지원 대상자 조건
- 15세~65세 근로자(대한민국 국적)
- 해당 지역 거주자 또는 지역에 소재한 사업장의 근로자
- 1개월 이상의 직장인 건강보험 가입자
- 1개월 이상의 고용보험 또는 산재보험 가입자
- 3개월 평균 매출 206만원 이상 자영업자
- 질병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
지원 제외자 공무원,국공립학교 교직원 / 타 제도 중복수급자(고용보험 실업급여, 산재보험 휴업급여, 상병보상연금, 생계급여, 긴급복지지원제도 등) / 건강보험 급여 정지자, 자동차보험 수급자, 질병휴직이 아닌 휴직자 |
지원 금액 : 일 47,560원
2단계 상병수당 제도
대상지역 | 지원기간 | 최대기간 |
안양시, 달서구 | 근로활동 불가기간 | 120일 |
용인시, 익산시 | 입원 외래진료 기간 | 90일 |
지원 대상자 조건
- 15세~65세 근로자 (대한민국 국적)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 고용보험 또는 산재보험 가입자
- 사업 기간 및 매출 기준 충족하는 자영업자
- 소득 하위 50% 취업자 (기준 중위소득 120%, 재산 7억 원 이하)
지원 제외자 공무원,국공립학교 교직원 / 타 제도 중복 수급자(고용보험 실업급여, 산재보험 휴업급여, 상병보상연금, 생계급여, 긴급복지지원제도 등) / 건강보험 급여 정지자, 자동차보험 수급자, 질병휴직이 아닌 휴직자 |
상병수당 신청 방법 (지역별)
상병수당 제도는 현재 시범사업으로 지역별로 사업모델을 다르게 하여 국민들이 지원받는 혜택을 극대화 하고자 통계를 확보중에 있습니다. 때문에 지역별로 지원내용, 지원대상, 지원기간 및 조건, 신청방법 등이 조금씩 다릅니다. 현재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신규 4개 지역을 추가 모집중에 있습니다. 해당 거주지를 확인하셔서 세부 신청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부천시, 포항시 근로자 상병수당 신청하기
- 종로구, 천안시 근로자 상병수당 신청하기
- 순천시, 창원시 근로자 상병수당 신청하기
- 안양시, 달서구 근로자 상병수당 신청하기
- 용인시, 익산시 근로자 상병수당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