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별 혈압정상수치를 공유합니다.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까지의 정상 혈압 수치표이며 나이별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성인병 및 질환 등에 대해서도 공유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이러한 질환들에 대해 조기진단 및 예방을 할 수 있게 나이별 건강검진을 무료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연도 무료 검진 대상자는 필히 국가검진을 통하여 건강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시 즉각 진단을 받아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혈압정상수치
흔히 병원에서 사용하는 혈압대를 기준으로 혈압을 재면 ‘수축기 혈압’과 ‘이환기 혈압’ 두 가지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심장이 혈액을 내보낼 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하며 심장이 확장되고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왔을 때의 압력을 확장기 혈압이라 표기합니다.
우리나라 기준 혈압정상수치는 수축기 혈압 120mmHG, 이완기 혈압 80mmHG이며 이보다 기준 이상 높거나 낮을 때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라 부릅니다.
구분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
저혈압 | 100mmHG 이하 | 60mmHG 이하 |
정상혈압 | 120mmHG 미만 | 80mmHG 미만 |
고혈압주의단계 | 130~139mmHG | 80~89mmHG |
1기 고혈압 | 140~159mmHG | 90~99mmHG |
2기 고혈압 | 160mmHG 이상 | 100mmHG 이상 |
나이별 정상혈압수치
연령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
20대 | 121~128mmHG | 72~75mmHG |
30대 | 124~130mmHG | 75~79mmHG |
40대 | 132~140mmHG | 80~84mmHG |
50대 | 144~150mmHG | 80~91mmHG |
60대 이상 | 156~166mmHG | 89~91mmHG |
- 위 수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개인 신체능력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올바른 혈압측정방법
혈압은 측정 환경과 커프(혈압대) 부위, 자세 등에 따라 조금씩 변동이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으로 여러번 측정하여 평균치를 산출해야 합니다. 최근 비만, 가족력에 따른 고혈압, 당뇨 등의 질환이 많아 지면서 가정에서도 혈압계 사용이 필요해 졌습니다. 올바른 혈압 측정의 자세와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측정하기 전 3~5분 정도 앉은 상태에서 휴식을 취합니다. 등받이에 등을 대고 발이 바닥에 닿게 고정합니다. 측정하는 윗팔의 위치가 심장정도 높이가 되게 조절하고 팔에 힘이 들어가지 않게 약간 구부려 놓은 상태에서 측정을 시작합니다.
- 2분 정도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하고 평균을 산출합니다. 처음에는 양팔을 모두 측정하고 그 뒤로는 혈압수치가 더 높게 나온 팔에서 측정합니다.
- 커프(혈압대)가 팔에 비해 작은 경우 혈압이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프는 너비는 윗팔 둘레의 37~50% 정도, 길이는 75~100% 정도 덮을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고령이거나 당뇨병 환자, 저혈압이 의심되는 분은 일어선 후 1분과 3분에 혈압을 측정합니다.
- 혈압을 측정할 때 30초 정도 맥박수도 함께 기록하고 여러가지 부정맥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부정맥이 있다면 맥박에 따라 혈압에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3번 이상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합니다.
가정혈압측정 관련 영상
정상혈압을 유지하는 방법
1. 잘못된 생활습관 개선하기
2. 금주 및 금연을 통해 합병증 줄이기
3. 스트레스 관리하기
4. 수영, 걷기 등의 꾸준한 유산소 운동
5. 나트륨,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식단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