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전염성에 대한 모든 것 (가족 및 동거인 전염)




결핵이란 결핵균이 우리 몸안에 들어와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전염성이 강한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이 질병에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 발열, 피로, 객혈, 체중감소,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밖에도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결핵 초기 또는 잠복결핵 상태일때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결핵균이 폐로 전염되었을 때 ‘폐결핵’이라고 하며 폐를 뺀 나머지 신체 부위에 감염되면 ‘폐외결핵’ 또는 ‘비호흡기 결핵’이라고 합니다. 다만 폐에 감염된 환자가 그 외의 환자에 비해 월등히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폐결핵과 결핵은 동일하게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핵 전염

결핵 전염 과정

결핵 또는 폐결핵 환자가 기침을 할 때 결핵균이 공기 중으로 배출되게 됩니다. 그리고 주위 사람이 같은 공간에서 숨을 쉬게 되면 결핵균이 몸으로 들어와 전염되게 됩니다. 즉, 결핵환자와 접촉하였던 사람들 대부분이 감염 위험성을 가지게 되며 우선적으로 결핵 환자의 가족 및 동거인을 대상으로 검사를 받게 됩니다. 검사에는 일반결핵검사와 잠복결핵검사가 있습니다.

결핵 검진 대상자 범위



결핵 환자의 전염성의 정도 및 접촉한 시간 등을 확인해 검진 대상자의 범위를 정합니다. 만약 검진 대상자에 해당된다면 보건소에서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범위는 [결핵환자가 결핵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 그리고 치료 시작 후 2주 까지 같은 공간에서 생활했거나 자주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이 대상이 됩니다.

검진 대상자는 흉부X선 촬영과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검사 등의 검진을 시행하게 됩니다.

결핵 검사 대상자

결핵 판정 시 외부 활동

결핵은 공기로 전염되는 감염병이기 때문에 초기에 전염성이 높은 기간 동안에는 직장 출근이나 등교를 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최소화 해서 생활해야 합니다. 치료가 시작하면 전염력은 많이 떨어지게 되고 2주 이상 결핵약을 복용하면 전염력이 거의 없어지므로 직장이나 학교에 복귀할 수 있습니다.

전염성이 있는 기간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결핵균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감소시켜 주변 사람들에게 전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가능한 집 안에 머무르며 환기가 잘 되는 독립된 방을 혼자 사용하고 창문을 자주 열어 환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결핵균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수저, 식기, 이불, 칫솔, 장난감 등을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결핵환자가 사용하던 물건들을 따로 소독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핵 전염성

결론

결핵은 치료약만 꾸준히 잘 복용하면 치료 성공률이 90% 이상입니다. 하지만 약을 충분히 복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담당 의사와 꾸준히 상담하여 약을 끝까지 잘 복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달아 주세요.

평균 평점 4.8 / 5. 튜표 수 37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