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화혈색소 정상수치 기준표 (2025년 )




이번 글에서는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기준표와 이를 반드시 측정해야 하는 이유와 중요성에 대하여 공유합니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질병 부담 1위이며 고혈압, 심혈관질환, 이상지지혈증 등의 합병증까지 유발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질병으로 정의되어 인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과 대조적으로 우리나라 성인의 60% 이상이 ‘당화혈색소’에 대해 모른다는 인식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잠재적 당뇨병 가능성을 진단할때 보통 ‘공복혈당 수치’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무료로 시행하는 국가검진 항목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국가 건강검진 무료 대상자 조회하기

연령대별 정상 혈당수치 확인

당화혈색소란

당화혈색소

당화혈색소는 혈액에 유입된 포도당이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혈색소와 결합화여 당화된 것을 %로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이러한 결합은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었을 때 나타나며 적혈구에 결합된 포도당은 적혈구의 기준수명 3개월간 공존하게 됩니다. 즉, 지금의 수치를 통해 환자의 과거 2~3개월 간의 평균적인 혈당 조절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당화혈색소 수치 : 지난 2~3개월 간의 평균적인 혈당 수치를 나타낸 것입니다.
  • 공복혈당 수치 :  8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에서 현재의 일시적인 혈액속의 포도당 농도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혈당의 변동폭을 알 수 있으며 식사와 신체활동량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기준표



기준표 당화혈색소 수치
정상수치 4% ~ 6%
당뇨병 주의 단계 6% ~ 6.4%
당뇨병 6.5% 이상

당화혈색소 정상수치는 4%~6%이며 6.5% 이상이면 당뇨로 진단을 합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우리보다 조금 높은 7%미만일 시 당뇨라고 진단합니다. 우리나라가 당뇨환자들의 목표 당화혈색소 수치(6.5%)를 미국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세운 이유는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들이 다른나라에 비해 췌장 질환이 더 잘생기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기준치를 낮게 잡았습니다.

또한 위의 정상수치는 나이, 성별, 환자의 상태 및 검사 기관의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당뇨환자의 혈당조절 목표 수치

구분 정상수치 조절목표
공복혈당 70~100mg/dL 80~130mg/dL
식후 2시간 혈당 90~140mg/dL 180 mg/dL 미만
당화혈색소 5.7% 미만 6.5% 미만

당화혈색소 검사방법 및 주기

당화혈색소는 팔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하며 식사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금식하지 않아도 됩니다. 최초 당뇨를 진단받은 후 1년에 4번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꾸준히 확인하고 한 달에 0.5~1%씩 낮추는것을 목표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관련 영상

 

당화혈색소 기준표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달아 주세요.

평균 평점 4.7 / 5. 튜표 수 132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